티스토리 뷰
반응형
안녕하세요!
오늘은 일상에서 자주 쓰이지만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맞춤법, 바로 **‘데’**와 **‘대’**에 대해 정리해보려 해요.
둘 다 말끝에 자주 들리지만 뜻도, 쓰임도 다르다는 사실!
이 글 하나면 앞으로 혼동 없이 자신 있게 쓸 수 있어요 😊
맨날 봐도 또 헷갈리고 또 틀리는 맞춤법.. ㅠ.ㅠ 이젠 진짜 기억해야 겠어요.
🔍 1. **‘데’**는 이런 경우에 씁니다!
형태설명예문
-데 (어미) | 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할 때 | 날씨가 춥던데, 옷 따뜻하게 입어. |
데 (의존 명사) | 장소나 상황을 나타낼 때 | 사람 많은 데는 피하자. |
✅ Tip
- 내가 본 것, 느낀 것을 말할 때 → ‘데’
- 장소나 상황을 가리킬 때도 ‘데’
🗣️ 2. **‘대’**는 이렇게 써요!
형태설명예문
-대 | 남이 한 말을 전할 때 (간접 인용) | 내일 비 온대. (= 온다고 해) |
-래 줄임 | 명령·권유를 전달할 때 | 친구가 같이 가재. (= 가자고 해) |
✅ Tip
- 남의 말을 전달할 때 → ‘대’, ‘재’, ‘래’
- 종종 줄임말이라 혼동하기 쉬워요!
📌 헷갈릴 땐 이렇게 구분하세요!
문장맞춤법이유
“그 영화 재밌대.” | O | 남이 한 말을 전함 (간접 인용) |
“그 영화 재밌데.” | O | 내가 보고 느낀 사실 전달 |
“거기 사람 많은데 가지 마.” | O | 장소(의존 명사) |
“걔 오늘 안 온데.” | X → “안 온대” | 남의 말을 전할 땐 대 |
“데”와 “대”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쓰임과 맞춤법이 다릅니다. 더 쉽게 비교하려고 아래 표로 정리해 드릴게요.
-데 | 어미 | 말하는 사람이 직접 경험한 사실을 전달할 때 사용 | 비가 오던데 우산 가져왔어? |
의존 명사 | 어떤 장소나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 | 사람이 많은 데에 가지 말자. | |
-대 | 어미 줄임 | **-다고 해(요)**의 줄임말 (간접 인용) | 내일 비가 온 대. (=온다고 해) |
-래(요) 줄임 | **-라고 해(요)**의 줄임말 (간접 인용) | 걔는 집에 간 대. (=간다고 해) |
📝 마무리하며
비슷하게 들리지만 ‘데’는 경험, ‘대’는 전달의 의미예요.
이제 누군가 "이게 맞는지 모르겠어…" 할 때 자신 있게 알려줄 수 있겠죠?
헷갈리는 맞춤법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!
다음에도 유용한 맞춤법 정보로 찾아올게요 😊
#맞춤법정리 #데와대차이 #국어공부 #헷갈리는맞춤법 #블로그정보글
반응형
'📣 정보, 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✍️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: ‘-로서’ vs ‘-로써’, 언제 어떻게 써야 할까? (25) | 2025.05.03 |
---|---|
GPT!! 요즘엔 이런 사진 제작하는게 유행이라며? (25) | 2025.05.02 |
블로그 글에 광고, html 코드 넣기를 무작정 따라했더니... (10) | 2025.05.02 |
쉽게 따라하는 GPT로 만드는 이미지 - 병에 담긴 도시의 모습 (15) | 2025.05.01 |
📢꼭 확인해야 할 SK텔레콤 USIM 정보 유출 관련 대응 법 빛 Q&A (25) | 2025.04.29 |
반응형